한강 『채식주의자』 ― 처음으로 돌아가 끝까지
————————————————————————————————————
2007년 창비에서 출간된 한강의 연작소설집 『채식주의자』는 초판 5천 부로 시작했다. 고기를 거부하며 “식물이 되고 싶다”는 여성 영혜의 이야기는 당시 국내 문단에서도 낯선 설정이었다. 출간 직후 판매 속도는 빠르지 않았지만, 독특한 상상력과 미학적 문체가 일부 독자의 블로그와 서평 카페를 통해 화제가 되면서 천천히 독자를 불러 모았다. 2016년 영어 번역본 『The Vegetarian』(번역 — 데버러 스미스)이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하면서 작품은 전 세계 40여 개 언어, 누적 250 만 부(한국문학번역원 2025-04 기준) 판매라는 ‘월드 베스트’가 되었다. 그 궤적은 악보의 Da Capo al Fine처럼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끝까지”를 반복하며 확장된 순환 서사였다.
Da Capo │ 탄생 — 세 편의 중편이 한 권으로
- 저자
- 한강
- 출판
- 창비
- 출판일
- 2022.03.28
- 집필 연대: 〈채식주의자〉(2002), 〈몽고반점〉(2003), 〈나무 불꽃〉(2004)
- 단행본 출간: 2007-10-30, 창비, 308쪽
- 초판 인쇄: 5,000부 ― 초기 판매는 베스트셀러 기준(1만 부)의 절반 수준
- 핵심 주제: 육체 거부, 식물적 존재, 가족·사회 폭력
작가 한강은 초판 서문에서 “육체를 완전히 벗어나는 상상은 인간이라는 종의 경계 자체를 흔드는
일”이라고 밝혔다. 작품은 세 인물(영혜·형부·언니)의 1인칭 시점을 순차로 배치해 “타인의 몸이 타자의 폭력과 어떻게 충돌·분열되는가”를 탐구한다. 초판 서점 반응은 “기이하고 무거운 작품”이라는 호·불호로 갈렸고, 출간 첫해 판매량은 5천 부 남짓에 그쳤다. 그러나 대학 문학동아리와 독립서점에서 낭독회가 열리면서 “문학적으로 가장 대담한 텍스트”라는 입소문이 서서히 퍼졌다.
Intermezzo │ 변곡 — 맨부커 인터내셔널 & 국내 논쟁
1) 수상과 해외 반응
2016-05-16(현지 시각) 런던 길드홀에서 『The Vegetarian』이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장 보좌 토카르크는 “잔인함과 연민이 식물적 이미지로 번갈아 솟구치는 독창적 작품”이라고 평했다. 수상 직후 5일간 국내 판매량은 1만 3천 부(교보문고 집계)로 급등했다. 2025년 4월 기준, 한국문학번역원 자료에 따르면 40개 언어 번역 · 판권 계약이 완료됐고 해외 누적 판매는 250 만 부를 넘어섰다.
2) 국내 검열·표현 자유 논쟁
수상 직후 작품의 폭력·성적 장면이 지나치다는 이유로 일부 교육청·학교도서관에서 비치 제외가 검토됐고, 온라인 서점 댓글란에는 “채식 혐오냐 육식 혐오냐”는 공방이 붙었다. 표현 자유를 옹호하는 문화예술인 서명(1만 2천 명)과 함께, 작품을 ‘금서’로 규정하려는 시도는 철회됐다. 결과적으로 논쟁은 책을 궁금해하는 독자를 더 많이 끌어들여 2016년 하반기에만 12쇄가 발행되었다.
“논쟁은 매번 책을 새로 읽게 했다. 독자는 텍스트의 다음 독자에게로, 책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읽혔다.” — 한강, <문학동네> 인터뷰(2017)
Al Fine │ 현재 — 재출간·학계 담론·영상화 추진
- 개정 11쇄(2024): 맨부커 수상 문구와 ‘식물 모티프’ 금박 슬리브를 추가한 커버로 예약 판매 24시간 만에 8,000부가 팔렸다.
- 학술 확장: 2017~2024 〈채식주의자〉 관련 국내외 논문 60편 이상. 주제는 ‘식물성 주체성’, ‘몸과 폭력’, ‘트라우마 내러티브’.
- 오디오북·그래픽아트: 2020년 민음사 오디오북, 2023년 창비×그래픽어 포스터 시리즈.
- OTT 영상화: 2024-12-15 연합뉴스 보도에서 “글로벌 OTT와 영상화 협상 중”이라고 제작사 길스토리 측이 밝혔으나 캐스팅·제작 확정은 아직 없다. 공식 발표가 있을 때까지는 ‘미확정 진행’ 상태다.
Encore │ 다음 악장
『채식주의자』는 10년 넘는 시간 동안 “한국 소설”에서 “세계 문학”으로, 그리고 다시 “다층 해석의 현장”으로 거듭났다. 초판 작은 인세가 “처음”이라면, 맨부커 수상은 하나의 “끝(Al Fine)”이자, 동시에 또 다른 “처음(Da Capo)”이었다. 영상화·가상현실 낭독·식물성 주체성 학술 대회처럼 새로운 매체·장르 해석이 이어진다면, 작품은 앞으로도 독자마다 다른 순환을 완주할 것이다. 독자는 매번 처음으로 돌아가 책을 펼치고, 다시 끝까지 읽으며—텍스트와 함께 끊임없이 변주되는 악보를 완성한다.
- 직업
- 소설가
- 소속
- -
- 사이트
참고·출처
-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Winner 2016 공식 리포트
-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출간 통계(2025-04)
- 교보문고 월간 베스트셀러(2016-09)
- 창비 출판사 보도자료(2007 초판, 2024 개정 11쇄)
'문화 & 예술 culture-arts > ● 문학·책 한 바퀴 (literature-lo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에서 영화로: 『82년생 김지영』 ― 처음으로 돌아가 끝까지 (4) | 2025.06.13 |
---|